LVM개념
2023. 3. 14. 14:03ㆍAWS 기반 데이터분석 처리 고급 SW 클라우드 개발자 양성과정
PV - /dev/sdb1, /dev/sdb2 같은 실제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의미
VG - 여러개의 PV를 그룹으로 묶은 것 ex) /dev/sdb1, /dev/sdb2가 GRP1이라는 그룹을 만들 때 GPR1 = VG
LV - VG를 다시 적절한 크기 파티션으로 나눌 때 각 파티션을 LV라고 함
df = 디스크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
df -h = 파일 시스템 사용량을 이해하기 쉬운 단위로 표시하기
df -Th = 파일 시스템의 종류 정보 출력하기
기능 | 명령 | 수업시간 |
LVM 생성하기 | apt install lvm2 | apt -y install lvm2 |
PV생성 | pvcreate 파티션 이름 | pvcreate /dev/sdb1 /dev/sdc1 /dev/sdd1 /dev/sde1 |
PV 상태 확인 | pvscan | pvscan |
VG생성 | vgcreate vg명 파티션(PV)명1 파티션(PV)명 2 | vgcreate vg /dev/sdb1 /dev/sdc1 /dev/sdd1 |
VG 활성화 | vgchange -a y VG명 | vgchange -a y vg |
VG 비활성화 | vgchange -a n VG명 | vgdisplay -v vg |
LV 생성 | lvcreate -l PE 수 VG명 -n LV명 | lvcreate -l 765 vg -n lvm1 |
LV mylvm1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 | mkfs.ext4 /dev/vg/lvm1 | |
e2fsck 명령으로 파일 시스템 검사 | e2fsck -f /dev/vg/lvm2 | |
파일 사이즈 정리 | resize2fs /dev/vg/lvm2 | |
1M를 블록사이즈로 500번 생성(500MB) | dd if=/dev/zero of=/vol2/data bs=1M count=500 |
'AWS 기반 데이터분석 처리 고급 SW 클라우드 개발자 양성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/15 (0) | 2023.03.15 |
---|---|
리마2급 (0) | 2023.03.14 |
D-5 (0) | 2023.03.10 |
1. Azure 기능 (0) | 2023.03.10 |
D-3 복습 (0) | 2023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