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(56)
-
HTML/CSS
웹의 구조: 인터넷을 활용하여 거미줄처럼 연결된 정보 소통 망, World Wide Web - 웹 문서를 인터넷 상의 컴퓨터들끼리 주고 받는 네트워크 시스템 웹: 웹서버 + 웹 클라이언트 컴퓨터 웹서버 1) 웹 사이트를 탑재하는 컴퓨터(Google, Naver 등) 2) 웹 문서, 이미지, 동영상 등의 데이터 저장 관리 3)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웹 문서 전송 4) 웹 서버로 작동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실행 웹 클라이언트 - 사용자 인터페이스 담당 - 웹 서버에 웹 문서를 요청하고 받아 사용자에게 출력 웹사이트 구축 - 웹 서버로 사용할 컴퓨터에 웹 서버 소프트웨어 설치 - 웹 페이지 동영상, 이미지 저장, 데이터베이스 설치 - 웹 서버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및 설치 웹 서버 소프트웨어 기능 - 웹..
2023.07.17 -
도커
도커란? Application을 Packaging할 수 있는 Tool Container라고 불리는 작은 S/W Unit(Application, System Tools, Dependencies)를 하나로 묶는다. -> 다른 서버, PC 쉽게 배포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. ex) NodeJS: 소스파일만 서버에 배포하는 것만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문제점이 있음. NodeJS와 npm,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면 여러 Dependencies와 환경설정하는 것(환경변수) 이런 모든것들을 다 설정해줘야함. 서버마다, 개발자들이 사용하느 PC마다 이런 모든 것들을 다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은 번거롭고 오류가 많이 발생함. 내가 NodeJS가지고 있고, 서버에도 NodeJS가 있으니깐 자..
2023.07.16 -
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
사용자(Actor)의 관점에서 시스템의 기능, 상호작용과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 사용하는 이유? - 제품과 상호작용하여 얻을 수 있는 목표를 자세히 설명 가능 -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요약하고 정의할 수 있음 - 시스템 이벤트의 기본적인 흐름을 모델링할 수 있음 시스템(Systems) 개발하고자 하는 것 그 자체이며, 웹사이트가 될 수도 있고, 소프트웨어 컴포넌트,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시스템이 될 수 있음. 시스템의 범위를 정의하며 흐름이 일어나는 영역의 경계를 정의함.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사각형 범위 안에 있는 흐름은 시스템 안에서만 일어나고, 범위 밖에 있 흐름은 시스템 안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. 사각형의 형태로 표시하고, 상단에 시스템의 이름을 정의함. ex) 파란색 사각형이 시스템이 해당하는..
2023.07.14 -
NodeJS정리
NodeJS란 Chrome V8 Javascript엔진으로 빌드된 Javscript 런타임이다. 런타임: Javascript를 돌아가게 만드는 것 Nodejs? 웹 서버를 만들 수 있는 기능 제공, 웹서버가 아니다. Javascript는 단독 실행 불가, 웹의 브라우저에서만 javascript를 실행할 수 있었는데, nodejs라는 javascript 실행기 등장으로, VScode에서 npm run start / node indes.js와 같은 방식으로 javascript 파일 실행 가능. Nodejs 이전에는 html에서 브라우저가 javscript를 읽은 것이고, nodejs 이후에는 nodejs 파일명.js로 javscript 실행 가능 + javascript를 활용한 웹 서버 생성 가능. Node..
2023.07.13 -
AWS_정리
컴퓨팅 서비스(Computing Service) EC2(Elastic Compute Cloud) - AWS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널리 쓰임, 물리 환경의 컴퓨터처럼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 -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형태(PC방) - 클라우드에서 컴퓨팅 파워의 규모를 자유자재 변경 가능 - 가상 머신으로 제공되며, 인스턴스라고 불림! - 안전성을 위해 여러 AWS 리전과 가용 영역에 걸쳐 배포됨 Auto Scaling - 트래픽에 따라 EC2 인스턴스들을 자동으로 확장/제거 - ELB(Elastic Load Balancer)와 함께 사용되는 기능으로 특정 트래픽 초과시 자동으로 EC2 인스턴스 생성, 다시 트래픽이 줄어들면 추가 생성하였던 EC2 인스턴스들을 삭제하는 유연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..
2023.07.12 -
Type
리스트: 순서가 있는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할 수 있는 자료 [list, list] ex) list = ['김길동', '홍길동' '소길동', 윤길동', 전길동'] print(list) 결과: ['김길동', '홍길동', '전길동'] -대괄호를 사용하여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 print(list[2] 결과: ['전길동'] print(list[-1] 결과: ['전길동'] 슬라이싱: 전체데이터에서 일부분만 가져오는 과정 print(list[0:2]) 결과: ['김길동', '홍길동'] 내장함수 len()은 요소의 개수를 구해주는 함수이며, 홀수 및 짝수만 구하려면 step(간격을)2로 정하면 됨. length = len(somelist) print(length) # 5 print(list[1:length:2..
2023.06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