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(56)
-
용어정리
클러스터: 각기 다른 서버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같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에게 고가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애자일: 지향하는 Value 제공을 위해 상황변화에 유연하고 대처하고 지속적인 반복과 쌍방향 협업을 해야한다는 사상 -> 애자일 핵심사상 "M" (Interactive, Value, Oriented, Iterative) Value-Oriented: 가치를 주지 못하는 것은 바꾸거나 버림 Interactive: Biz-Dev-Ops간 쌍뱡향 소통과 협업 Iterative: 끊임없는 실험과 학습의 반복을 통한 발전 Docker: Container: Deployment: Kubernetes: POD:
2023.06.30 -
0630
Day-66 # ssh master # apt -y update; apt -y upgrade # master, worker1, worker2 EC2 -> 인스턴스 재부팅 # ssh awsu # mkdir -p /allnew/node/module ### http request - GET ## request-get.js const https = require('https'); const options = { hostname : 'example.com', port : 3000, path : '/todos', method : 'GET' } const req = https.request(options, res => { console.log(`statusCode : ${res.statusCode}`) res.on(..
2023.06.30 -
06-29
Day-65 ### REST API 1. HTTP를 통해 SOAP(Simple Object Access Protol), Cookie 를 통한 세션 트레킹 같은 별도의 전송 계층 없이 전송을 하기 위한 간단한 인터페이스(not protocol) 2. Web Application -> service, REST -> Resource 3. Resource (CRUD : Create, Read, Update, Delete) HTTP Method : GET, POST, PUT, PATCH, DELETE ### REST API 구성 요소 1. Resource : 자원에 정의. HTTP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 2. Verb : 행위. HTTP Method : GET, POST, PU..
2023.06.29 -
도커 기초
컨테이너: 하나의 Application 프로세스 1st Container 2nd Container 3rd Container NodeJS Web Server PHP MySQL DB 컨테이너의 특징: 컨테이너 하나가 독립된 공간으로(Isolate) 분리되서 운영된다( CPU, memory, network, disk(하드웨어 Resource를 따로 가지고 있음) UserID, 동작되는 Application, Hostname, Network도 독립적으로 구성f Docker Host: 도커 설치 & Daemon , 도커 데몬이 없으면 도커를 실행할 수 없음 하지만 독립된 컨테이너가 동일한(하나의)커널을 사용함 호스트 입장에서 컨테이너는 단순히 동작되는 Process임 가상화: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, 애플리케이션..
2023.06.29 -
node-js
npm(Node Package Manager): 모든 코드를 다 짜는 것이 아니라, 필요한 툴이 있으면 검색해서 가져다가 쓰는 것(프레임워크나 자바스크립트로 구현된 굉장히 다양한 것들을 npm에서 다운받아서 사용) npm init - npm 을 시작하겠다 -npm init을 하면 자동으로 package.json이 생김 -package.json에는 모듈을 받고 적용을 해주는 목록들을 보여주는 창, 설치한 것들을 package.json에 적어놓기
2023.06.29 -
1일차
데이터 분석 일반 절차 요구사항 파악 -> 데이터 수집 -> 데이터 전처리 -> 데이터 분석 -> 데이터 시각화 1) 요구사항 파악 어떠한 데이터 분석을 할 것인지 결정. 요구사항이 무엇이고, 어떤 종류의 데이터 분석을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함. 2) 데이터 분석 요구사항 파악에 따른 데이터 수집 과정을 걸쳐야함. In general, 한 개인이 모든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고, 공공 기관들이 널리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. 저작권, 개인정보 문제로 온라인 열람을 하지 않을 경우, 직접 찾아가서 데이터를 열람하여 분석하려는 결과를 수집할 수 있음. 3) 데이터 전처리 수집 데이터가 분석의 근본적인 목적과 연관성이 없거나 경우에 따라서 유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정리..
2023.06.07